1. 싱크대 내부 습기가 PCB에 영향을 주어 작동 정지되며 알람이 울리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.
해결방안 : - 전원코드를 뽑고 제품 주위에 습기나 물기를 확인을 하십시오.
- 습기나 물기가 확인 된다면 제품을 드라이어기를 이용 또는 자연건조하여 주십시오.
- 그런 다음 전원을 다시 연결하고 에러 알람이 없으면 정상 작동이 가능합니다.
- 그러나 습기 또는 물기가 많은 싱크대 내부는 설치여건 개선을 하고 사용하여 주십시오.
- 위 문제점을 해결하여도 동일 증상 발생 시에는 우선 해당제품 구매하신 판매처를 통해
A/S 접수하시고 제품 수리 및 교환 처리 받으십시오 (사용기간에 따라 유/무상 처리 됩니다)
2. 또는 부품 불량으로 인한 경우일 수 있습니다.
해결방안 : 해당 제품을 구매하신 판매처에 우선 A/S 접수 후 본사를 통해 수리 및 교환 처리 받으십시오
(사용기간에 따라 유/무상 처리 됩니다)
싱크대 물이 내려가지 않아요
확인 사항
배수관 호스가 깊이 삽관 되어져서 꺾여있거나 접혀 있는지 또는 호스 구멍이 배관 파이프 바닥면에
완전 밀착 되어져 있는지 확인 하십시오.
1. 위 내용의 이유로 배관 호스 막힘이 발생 되었다면...
해결방안 : 호스를 바로 펴주고 호스 길이를 배관 파이프 바닥면에서 일정 부분 간격(대략 5~10cm 정도)
유지 할 수 있게 빼내어 잘라 주십시오.
2. 그 외 다른 예상원인은 음식물 아닌 투입 분쇄 하지 말아야 할 내용물을 분쇄 배출하여 배관 막힘이 발생 하였을 수 있습니다.
3. 또한 충분한 물을 흘려보내지 않고 과도하게 음식물을 투입 후 분쇄 배출하여서 배관 막힘이 발생 하였을 수 있습니다.
해결방안 : 배수관 청소법을 3~5회 우선 실행 하여 물 빠짐이 되는지 확인 하십시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※ 배수관 청소법 ※
싱크대에 물을 3분의1 이상 채우고 디스포저를 작동 시키면서 물을 동시에 빼고 하부 배관 호스를
조금 흔들어 막힘현상이 해소 되는지 확인하십시오.
위 내용 절차 시행 후에도 해결 되지 않을 경우 해당 제품을 구매하신 판매점 및 A/S전문점을 통해 A/S 접수 하십시오
(해당내용은 유상 A/S 처리 됩니다)
또는 배관청소업체에 별도 의뢰하여 처리하실 수 있습니다.
※ 배관막힘의 원인은 대부분 사용자의 부주의한 사용으로 인한 배관막힘이 주원인인 경우입니다.
투입 분쇄 하지 말아야 할 음식물쓰레기 구분법과 제품 사용법을 정확히 숙지 하여 사용하여 주십시오.
ㅇ투입 분쇄 금지 물질
- 동물 뼈 (소뼈, 돼지뼈, 닭 뼈 등)
- 패류 및 갑각류 껍질 (조개껍데기, 게껍질, 가재껍질 등)
- 금속류, 유리, 숟가락, 젓가락, 포크, 계란 껍데기
- 옥수수껍질, 양파 껍질, 마늘 껍질, 파 껍질
- 비닐류, 플라스틱, 고무, 행주, 수세미, 병뚜껑, 이쑤시개 등
- 단단한 과일 씨 (감 씨, 호두, 복숭아 씨, 살구씨, 파인애플 등)
사용자 자택에 접지가 안되어 있습니다.
접지란? : 감전 등의 전기사고 예방 목적으로 전기기기와 대지(大地)를 도선으로 연결하여
기기의 전위를 0으로 유지하는 것. 어스라고도 한다.
- 요즘의 대부분 건물 자체에는 접지 공사작업이 되어 있지만 간혹 접지가 안되어 있거나 접지 단락구간이
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예전의 오래된 건물은 접지가 안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그 외 다른 전기적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.
해결방안 : 접지가 안되어 있거나 단락구간이 있다면 별도의 전기 접지작업을 하셔야 합니다. (3상3선식 콘센트 및 멀티탭 필수)
1. 제품 초기 설치 시 어퍼 또는 체결너트 및 커넥터의 체결 불량, 또는 사용 중 어퍼와 체결너트 및 커넥터 풀림으로 인한 소음진동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.
해결방안 : 어퍼 또는 체결너트 및 커넥터를 정상체결 하시면 해결이 됩니다.
2. 위 방법을 진행하여도 해결이 안 될 경우
해결방안 : 대체 제품으로 교체하고 제품을 구매하신 판매점을 통해 수리 및 새제품 교환 접수를 하십시오.
(모든 제품의 설치 및 A/S 접수는 제품을 구매한 판매처를 통해야만 본사 A/S 접수가 됨을 양지 바랍니다)
우선 확인 사항
1. 전원 코드를 우선 뽑고, 투입구 내 회전판 사이에 음식물 및 이물질이 끼었는지 먼저 확인을 하십시오.
- 회전판에 이물질이 확인 되면 제거 후 전원을 연결 후 다시 작동 시키고 소음이 없다면 원인은 해결 되었습니다.
2. 이물질 끼임이 없다면 단단하고 딱딱한 음식물쓰레기 및 이물질의 투입으로 이미 회전판, 베어링, 맷돌, 리테이너 등의
손상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.
- 부품 불량으로 인한 경우
해결방안 : 즉시 현장조치가 불가하여 제품을 탈거하고 해당제품의 판매점을 통하여 수리 및 제품교체 접수를 하여 주십시오.
(소비자 부주의로 인한 손상으로 확인 될 경우 유상처리 됩니다)
1. 사용자의 자택에 자체 전기가 누전 되거나 전기용량 또는 누전 차단기 용량이 부족한것으로 예상됩니다.
해결방안 : 자체 누전 원인 해결 또는 전기용량 및 누전 차단기 용량을 늘려야 합니다.
2. 위 사항을 해결 하였는데도 제품 사용 시 동일 증상 발생 하였을 경우에는 과전압 발생 및 모터 절연 상태 불량으로 예상됩니다.
해결방안 : 모터교체 및 제품교환 (사용기간에 따라 유/무상 처리됩니다) |
모터의 절연 상태 불량 및 PCB 에러로 인한 이상으로 판단 됩니다.
해결방안 : 제품 탈거 후 해당 부품의 교환 수리 및 대체 제품으로 교환 (사용기간에 따라 유/무상 처리 됩니다)
제품이 작동되지 않습니다
확인 사항
1. 제품의 전원 연결 시 전원 연결음이 나는지 반드시 확인 해주십시오 (연결음이 들리면 전원은 정상입니다)
(1) 전원 정상일 경우 :
- 전원 코드를 우선 뽑고 음식물 투입구 내의 회전판 사이에 이물질이 끼였는지 확인 하십시오
- 긴 드라이버 공구나 쇠젓가락을 이용하여 회전판을 돌려 보십시오
- 자연스럽게 돌려지면 이물질 끼임이 없는 것입니다.
해결방안 : 모터 및 PCB 이상이 예상 되므로 해당부품 수리 교환 및 본품 교환 (사용기간에 따라 유/무상 처리 됩니다)
- 회전판에 이물질이 끼여 있으면 집게나 젓가락을 이용하여 빼내 주시고 다시 전원 연결하여 작동 시켜주십시오
- 작동이 정상적으로 된다면 이물질 끼임으로 인한 작동정지 문제가 해결 되었으므로 안심하고 사용하시면 됩니다.
(2 )전원 이상일 경우 (전원 연결음이 없다면...)
- 제품 외부 및 모터쪽으로 누수가 되었는지 우선 확인 하여 주십시오.
- 제품 내/외부의 누수 흔적이 보인다면 초기 설치 불량 문제로 누수로 인해 PCB 기판이 손상 되었을 수 있습니다.
- 누수 흔적이 없다면 모터 절연상태 및 PCB 이상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해결방안 : 해당 부품의 수리 교환 및 본품으로 교환 (사용기간에 따라 유/무상 처리 됩니다)
기본적으로 페달 스위치는 밟으면 작동하고 발을 떼면 작동 정지 되는 제품입니다.
무리하게 오랫동안 밟고 있거나 세게 밟으면 스위치 접접 부분의 오작동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 될 수 있습니다.
해결방안 : 페달 스위치 교환을 하십시오 (사용기간에 따라 유/무상 처리 됩니다)
@. 페달 스위치 교환 조치 하였어도 작동이 되지 않을 때...
해결방안 : PCB 기판의 에러로 인한 고장이 예상 됩니다. (제품 탈거 후 사용기간에 따라 유상수리 또는 제품 무상 교환 처리 됩니다) |
리모컨 작동이 안됩니다
우선 체크 사항
1. 본체의 전원이 들어오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 하십시오 (본체 전원 연결 후 전원 연결음이 들리는지 확인)
2. 리모컨 건전지 방전 확인 (리모컨 버튼을 눌렀을 때 작동램프가 켜지지 않는다면 건전지 교체를 하십시오)
3. 본체 전원연결 후 전원 연결음이 들린다면...
- 리모컨 셋팅이 되어 있는지 확인 및 발판 스위치 작동이 되는지 확인 하십시오
(리모컨은 출고 전 기본적으로 셋팅이 되어 있지만 간혹 셋팅이 해제 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)
- 리모컨 셋팅이 안되어 있다면 당사 홈페이지 리모컨 셋팅 방법을 참조 하여 셋팅 하십시오.
4. 리모컨 작동램프 및 발판 스위치가 만약 정상 작동 된다면...
- 본체와 리모컨 간의 신호 노이즈 현상으로 송수신 불량 또는 리모컨 문제일 수 있습니다.
해결 방안 : 리모컨 교체를 하십시오 (유/무상 처리 기준에 따라 유상 교환처리 될 수 있습니다)